<세계최초 개발 성공, 한국형 철도통합무선망(LTE-R) 확대로 국민안전 확보>
KR은 한국형 철도통합무선망(KR LTE-R*)을 원주~강릉 고속철도에서 상용화에 성공하며, 2018년 소사~원시 개통 및 울산 신항 등
3개 사업에 비롯, 전국 철도망에 확대 적용하고 있습니다. 3개 통신방식을 LTE-R로 단일화하여 열차‧관제센터‧유지보수자‧운영사 간
영상과 대용량 데이터의 초고속 전송이 가능해짐에 따라, 열차 무선통신방식 혼용이 해소되어 열차 운행의 안전성이 향상되고,
철도시설의 실시간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물류 서비스가 개선되고 유지보수의 고도화가 실현될 것입니다. 또한, 사물인터넷 서비스
기능이 접목된 안전관리 서비스 활용이 가능해지고, 국가 재난관련 기관의 통합 무선통신망인 재난안전통신망(PS-LTE)과의 연계로
철도현장에 재난상황 발생 시 재난통신망을 지원하여 철도 안전이 제고될 것입니다. 공단은 2027년까지 고속‧일반‧광역철도 등
약 4,726km 규모의 전국 철도노선을 대상으로 LTE-R을 기반으로 일원화된 철도통합무선망을 구축하여 국민안전과 철도 이용객 서비스
향상에 크게 기여하겠습니다.
<승강장 안전문 100% 조기 설치>
KR은 최근 6년간 철도승강장 사상사고가 급증함에 따라, “안전사고ZERO화”를 목표로 당초 2023년으로 계획되었던 승강장 안전문 설치를 5년 조기 완료(2018년 6월) 하였습니다. 그 과정에서 정부 재정에 의존 시 투자 추세 및 가용재원과 관련하여 발생 가능한 설치 사업 상
한계를 감안하여, 공단 주도의 채권발행을 통한 선투자로 투자기간을 단축하여 수도권 광역철도 일반정차 246개역 승강장 안전문을 전면 구축하였습니다. 그 결과, 승강장 안전 사고가 최근 3년간 75% 감소하였음은 물론, 교통사고 감소에 따른 사회적 간접비용 절감과 역사 내 공기질 개선에 기여하였습니다.
<철도이용 교통약자 맞춤형 역사 조성>
KR은 철도 이용객 누구나 불편함 없이 편리하고 안전한 편의시설을 이용하도록 교통약자를 한번 더 생각한 철도 시설 · 서비스의 제공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이용객 중심의 역사 편의시설 개선을 위하여 아이디어 공모를 실시한 결과, 대합실 의자 10% 이상을 교통약자석으로 지정하는 등 설계 기준을 개정하고, 역사 내 보행경로 안내시스템 설치 기준을 마련 하여 이동동선에 비콘(휴대폰 위치정보 전송 시스템)을
구축하는 등 시각장애인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였습니다. 또한, 분당선 등 4개 역사를 우선적으로 엘리베이터 4대, 에스컬레이터 16대의
교통약자 이동설비 설치를 완료하고, 폭염 및 혹한에 취약한 교통약자를 배려하여 더위와 추위를 피할 홈맞이 방을 경부선 9개역에 추가
마련하는 등 불편을 최소화 한 배려시설을 확충하고 있습니다.
주소 : 대전 동구 중앙로 242 국가철도공단
홈페이지 : htt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