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y point : 면외좌굴 구속, 시공성, 마감재 철거 최소화, 채광 확보의 확실성
* 기술의 개요
X-자 형상 강재 심부플레이트 및 덧댐판으로 구성된 좌굴구속이 가능한 강성 및 에너지 소산형 내진보강 공법
응력분포의 효을성을 증대시킨 X-자 형상의 강재 심부 플레이트와 압축존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강재의 좌굴을 효과적으로 구속하는
덧댐판으로 구성된 전단하중에 대해서 강성이 증가하고 지진하중에서 발생된 반복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소산할 수 있는 내진보강공법
X-자형상 강재 심부플레이트 및 덧댐판으로 구성되어 항복변위 발생전까지 강성보강 역할을 하고, 항복변위 발생 이후 댐퍼로 작동하는 기술
덧댐판을 이용하여 전단에 으한 강재의 항복 시 심부플레이트의 좌굴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기술
안정적인 이력거동을 위한 좌굴구속이 가능한 강성 및 에너지 소산형 내진보강기술의 내진선능은 매우 우수하며, 시공성능 또한 매우 탁월함
* 기술의 우수성
1. 기존의 내진시스템의 경우 주로 건물의 시공 단계에서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었고, 기존에 시공되어 있는 건축구조물에 보강을 위해 추후 시공하기가 용이하지 않아
제진시스템의 시공 시 비용이 과도하게 소요되고, 구조물의 외관을 심각하게 훼손하는 등의 문제점 해결
2. 예상되는 지진하중의 레벨에 대해서 효과적인 제진효과가 나타나지 않아, 구조물의 댐퍼의 설치 의도가 상실되어 구조물의 제어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할 경우, 발생하는 문제점 해결
3. 상기의 문제뿐만 아니라, 심미적인 기능을 요구하는 건축구조물의 외관설계에 대해서 기존 1~2가지의 특수장치 (댐퍼)로는 효과적인 구조리모델링 효과를 달성하기에는
매우 제한적 이었던 설계자유도를 획기적으로 향상 시킬 수 있는것이 가장 큰 특징
* 지진방지기술 : 좌굴구속형 강재댐퍼를 이용한 제진장치로써 강재의 단점인 면외좌굴을 방지하여 압축응력 저하 방지
* 내진보강강화 기술 : 일정 변위 발생 전까지 강성보강 역할 및 일정변위 발생 후 에는 댐퍼로 작용
* 시공성 강화기술 : 기존의 벽체 철거 없이 내,외부 장착이 가능하여 철거비용 최소화
* 경제성 향상기술 : 좌굴강재댐퍼는 전단 항복형으로써 설치 이후 유지관리를 위한 비용 인력의 투입 없음.
* 심미적 향상기술 : 기둥 사이의 벽식형 또는 창호형으로 설치가 되어 미관 및 채광이 우수함.
* 기술의 신규성
- 전단에 의한 강재의 항복 시 좌굴을 효과적으로 방지
- 구조물의 이력거동으로 감쇠비를 산출하여 요구곡선을 감소시킬 수 있음.
- 일정 변위 발생 전까지 강성보강 역할을, 일정 변위 발생 이후에는 댐퍼로 작용함.
- 기존이 벽체 철거 없이 내.외부장착이 가능하여 철거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음.
* 기술의 특징
- 기존의 댐퍼 제품과 달리 구조물의 외관을 훼손시키지 않으면서 효과적으로 제진의 능력을 향상시킨 댐퍼 시스템
- 강성 및 에너지소산능력형 보강으로부터 다양한 지진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흡수 하고 기존 건축물의 시스템에 유연성 있게
대응 할 수 있는 철골프레임을 이용한 좌굴구속형 내진보강공법
- 건축물의 시공성이 우수하고 저비용으로 내진성능을 확보하는데 유리한 최적의 내진보강 공법
* 시공 순서
1. 설치 위치의 마감재 철거 - > 2. 부착표면 처리 -> 3. 앵커홀 작업 및 고정 - > 4. 에폭시 주입 및 실링 -> 5. 댐퍼프레임 설치 및 고정
주소 : 전남 광양시 광포3길 50 2층 포엠주식회사
홈페이지 : http://www.four-m.co.kr